국민을 지키는 국회 미래로 나아가는 국회 국회입법조사처

연구 보고서-상세화면

‘응급실 뺑뺑이’는 어떻게 막을 것인가 : 「수용곤란 고지 지침」의 쟁점과 실효성 확보 방안

2025.09.08 한진옥

분 류 : 이슈와논점

  • [바로보기]
  • [다운로드]

1.줄어들지 않는 ‘응급실 뺑뺑이’

2.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쟁점은?
  (1) ‘동희법’ 개정되었으나 정부의 후속조치 부재
  (2) 수용불가 원인 개선 없는 지침의 한계

3. 국내·외 응급실 재이송 방지 사례
  (1) 일원화된 이송병원 선정기관 운영하는 해외
  (2) 119구급상황센터에 지휘소 권한 부여한 지자체

4. 응급실 뺑뺑이 해결을 위한 우선 입법 과제
  (1) 119구급상황관리센터의 병원 선정 권한 강화
  (2) 통합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5.응급의료체계 정상화를 위한 추가 개선방안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는 골든타임 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환자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의 위기를 보여준다.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수용능력 확인은 코로나19 시기에 격리병상 여부 등을 유선으로 확인하는 사전 허락이라는 관행으로 변질되어 운영되었고, 2024년 이후 의료대란 속에서 고착되었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제시된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표준지침은 병상·인력 부족 등 근본적인 수용 불가의 원인에 대한 개선이 없어 현장에서 원활히 작동하기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응급환자의 이송병원 결정 권한 명시, 통합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등 수용곤란 고지 지침의 실효성 확보가 필요하다.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페이스북 새창에서 열림 트위터 새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