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보고서-상세화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 공급 리스크 진단
1.반도체와 전기의 품질
2. 클러스터 조성 계획과 에너지 리스크
3. 클러스터에 대한 전력공급의 문제점
1) 전력망 안전도 취약성
2) RE100 산업단지 계획과의 연계 부족
3) 재정부담과 사회적 갈등 유발
4) 탄소중립 정책과의 충돌
4. 개선 과제
1) 전담 DSO 구성
2) 재생에너지 시장 개편
3) 갈등 비용의 가격화
4) 전력망 신뢰도 향상
5.전력산업과 반도체산업의 지속가능성
국가전략산업의 하나인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하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용인에 국가산업단지와 일반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정부는 공용망 위주의 효율적 전력망 건설을 추구하지만, 공용망 구성은 안전도에 있어 취약하고 RE100을 위한 환경 조성에도 역행한다. 2024년 서울ㆍ남서울 변전소 피상전력 약 35 GVA(기가 볼트암페어)의 60%인 21 GVA를 서울 면적의 1.9%에 불과한 클러스터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물리적 가능 여부를 먼저 검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