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을 지키는 국회 미래로 나아가는 국회 국회입법조사처

연구 보고서-상세화면

국무회의의 정족수-주요 쟁점과 입법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2025.07.11 정재하,김인태

분 류 : 이슈와논점

  • [바로보기]
  • [다운로드]

1. 들어가며

2. 국무회의 정족수 관련 쟁점
  (1) 국무회의 심의를 위한 최소 인원
  (2) 대리출석한 차관의 정족수 포함 여부
  (3) 국무회의 심의를 생략한 행위의 효력
  (4) 국무회의 회의록의 작성 및 공개

3. 입법적 개선방안
  (1) 정족수를 헌법이나 법률에 직접 규정
  (2) 의사정족수 기준 변경
  (3) 국무위원에 대한 직무대행 규정 신설
  (4) 국무회의의 공개성 강화

4.나가며

 


헌법상 국무회의는 정부의 최고 정책심의기관으로서 정책결정에 신중을 기하고 대통령의 전제나 독선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국무회의의 정족수를 둘러싼 논란이 반복되고 있다. 국무위원 다수가 사직·탄핵 등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면 정족수 미달로 국무회의가 마비될 우려도 제기된다. 이러한 논란과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으로 ① 헌법 또는 법률에 정족수를 명시, ② 의사정족수 기준 조정, ③ 국무위원 직무대행 규정 신설, ④ 국무회의의 공개성 강화 등을 고려할 수 있다.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페이스북 새창에서 열림 트위터 새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