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을 지키는 국회 미래로 나아가는 국회 국회입법조사처

연구 보고서-상세화면

공적개발원조(ODA) 추진체계 개선을 위한 과제 및 국회의 역할

2025.10.22 박명희

분 류 : 이슈와논점

  • [바로보기]
  • [다운로드]

1. 들어가며

2. 우리나라 ODA 추진체계 현황과 문제점
 (1) 우리나라 ODA 추진체계
 (2) 우리나라 ODA 추진체계의 문제점
  가. 통합적·전략적 접근의 제약
  나. 사업평가 거버넌스의 분절성
  다. 국회의 감시기능 한계

3.해외사례: 독일, 영국, 일본
 (1) 독일
 (2) 영국
 (3) 일본


4.제도개선 과제 및 국회의 역할


2010년 「국제개발협력기본법」 이 제정되면서 우리나라 ODA 정책의 법적 근거는 확보되었으나, 추진체계는 총괄·조정기관, 유·무상 주관기관, 41개의 시행기관(2025년 기준)으로 분절되어 있다. 우리나라 ODA 규모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각 부처가 자율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면서 국가 전략과의 정합성이 떨어지거나, 중복사업이 발생하면서 ODA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독일, 영국, 일본 등 주요 ODA 공여국 사례와 같이 ODA 정책적 기능의 통합, 독립 평가기관의 설립, 의회 내 전담 위원회의 설치 등을 정책과제로 검토할 수 있다.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페이스북 새창에서 열림 트위터 새창에서 열림